홍보센터
국가근로장학사업
국가근로장학금 취업연계중점대학
국가근로장학사업에 대한 대학의 비전
◦ 4차 산업혁명 대비 지역사회 수요기반‘취창업역량 강화’추진
◦ 대학 혁신 전략‘자기주도적 융‧복합 전문인력 양성’기반의 취업률 제고
◦ 산학협력 주기‧모형‧체계의 혁신을 통한 산학친화형 대학 환경 조성으로 양질의 취업률 제고
◦ 국가근로장학을 통한 현장 직무 역량 제고 기반 개인 맞춤형 취업 프로그램 운영
◦ 사회수요에 부합하고, 학생이 스스로 움직이는 자기주도적 취업 프로그램의 제도화 및 정착
추진방향
◦ 중소기업형 Scholarship Frontier 인재 육성기반 취업연계 모델 구축
◦ 기업과 학생이 하나되는 취업연계 모델 구축을 통한 학생 맞춤형 취업 경쟁력 강화
◦ 평가위원회의 모니터링 지원체계 기반 환류체계를 활용하여 취업연계 모델 고도화 추진
추진계획 및 체계
사업 참여자(학생·근로기관·대학) 니즈(Needs) 기반 세부 체계 구축
사업운영 추진 절차 및 내용
◦ 근로기관 및 학생 선발, 사업 최종 평가 후 환류까지 체계적 운영
◦ 전공 기반 중심의 연계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계 근로기관 발굴 및 관리
◦ 근로 기관의 직무 내용 사전 이해 강화 및 근무 기간 직무 역량 강화 가속화 추진
기대효과
주체별 |
기대효과 |
대학 및 대학생 |
· 전공 교육과 동시에 근로기관에서의 전공 실무 직무 역량 강화에 의한 학생 취업 경쟁력 강화 · 국가근로장학시스템, 직무 중심 인턴시스템 융합의 대학 차원의 새로운 취업 모델 제도화 실현 |
지역사회 및 중소산업체 |
· 업무 활용도 강화 및 인턴 기간 없는 직무 연속형 취업 연계 강화로 산업체 생산성 강화 · 신입직원 교육을 위한 추가 교육 직·간접비 절감 유도 및 장기 근무에 의한 근로기관 부가가치 확대 · 인성/기초직무/전공실무 등 (중소)기업 맞춤형 인력 조기 확보 |
사업실적
취업률
구분 |
2015년 |
2016년 |
2017년 |
2018년 |
2019년 |
참여인원 |
57명 |
31명 |
46명 |
63명 |
66명 |
취업인원 |
43명 |
24명 |
37명 |
52명 |
59명 |
취업률 |
75.4% |
77.4% |
80.4% |
82.5% |
89.3% |